일상

'알바 주휴수당' 본인이 알아야 챙깁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계산 공식)

.후이. 2024. 11. 4. 01:17
반응형


주휴수당이란?

-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서 보장하는 근로자의 권리
- 일주일에 소정 근로일수를 채우면 주어지는 유급 휴일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휴식, 건강을 보장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쉬는 날에도 돈을 받는 것이니, 알바생에겐 매력적인 제도이죠.

 

  그렇지만 모두가 받는 건 아닙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선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2. 소정 근로일수 채우기 (개근)

3. 근로 계약서 작성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선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ex) 일주일에 4시간씩 3일 근무 (12시간) = 주휴수당 x

          일주일에 4시간씩 4일 근무 (16시간) = 주휴수당 o

 

 

  2. 소정 근로일수 채우기 (개근)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선 일주일에 정해진 근무 일수를 모두 채워야 합니다.

    즉, 결근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지각이랑 조퇴는 어떡하나요?'

    => 지각이나 조퇴는 결근으로 처리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근로 계약서 작성

 

    근로 계약서 작성은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 정말 중요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여부와 방법이 근로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이라 적혀있는데 어떡하죠?'

    => 24년 주휴수당 포함 시급은 11,832원입니다.

 

    주휴수당 포함 시급으로 월급을 계산해 봤는데

    위 금액보다 작다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방법]

    → 고용노동부 사이트

    → 민원신청, 조회

    → 민원신청 근로 기준 분야 민원신청 

    → 진정서(임금체불, 직장 내 괴롭힘, 기타 노동법 위반)

 

    근로계약서, 근태 기록 등을 첨부하여야 하니

    만일에 사태를 대비해 확보해두는 것이 현명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처벌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이기에 이를 잘 설명하고 대화를 통해 받는 게 제일 좋습니다.


주휴수당 계산 공식 (평균 근로시간 x 시급)

 

  한 주의 총 근로시간 / 5일 = 평균 근로시간

  평균 근로시간 x 시급 = 주휴수당

 

  ex) 시급 만원 / 일주일에 6시간씩 4번 근무

 

       총 근로시간 = 24시간

       평균 근로시간 = 4.8시간

       

       4.8시간 x 10,000원 = 48,000원 (주휴수당)


* 평균 근로시간은 최대 8시간이므로 초과되는 시간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ex) 시급 만원 / 일주일에 10시간씩 5번 근무

 

       총 근로시간 = 50시간

       평균 근로시간 = 10시간

 

       10시간 x 10,000원 = 100,000원

       = X

 

       8시간 x 10,000원 = 80,000원

       = O


주휴수당의 지급 조건과 계산 공식에 대해서 포스팅해봤습니다.

 

주휴수당을 받는 것은 근로자의 권리이니 받는 것이 맞습니다.

 

그전에 왜 받는 것인지, 왜 이 금액을 받는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아르바이트를 구할 때

제가 보는 기준 2가지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https://wognl998.tistory.com/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