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이란?
-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서 보장하는 근로자의 권리
- 일주일에 소정 근로일수를 채우면 주어지는 유급 휴일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휴식, 건강을 보장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쉬는 날에도 돈을 받는 것이니, 알바생에겐 매력적인 제도이죠.
그렇지만 모두가 받는 건 아닙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선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2. 소정 근로일수 채우기 (개근)
3. 근로 계약서 작성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선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ex) 일주일에 4시간씩 3일 근무 (12시간) = 주휴수당 x
일주일에 4시간씩 4일 근무 (16시간) = 주휴수당 o
2. 소정 근로일수 채우기 (개근)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선 일주일에 정해진 근무 일수를 모두 채워야 합니다.
즉, 결근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지각이랑 조퇴는 어떡하나요?'
=> 지각이나 조퇴는 결근으로 처리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근로 계약서 작성
근로 계약서 작성은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 정말 중요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여부와 방법이 근로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이라 적혀있는데 어떡하죠?'
=> 24년 주휴수당 포함 시급은 11,832원입니다.
주휴수당 포함 시급으로 월급을 계산해 봤는데
위 금액보다 작다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방법]
→ 고용노동부 사이트
→ 민원신청, 조회
→ 민원신청 근로 기준 분야 민원신청
→ 진정서(임금체불, 직장 내 괴롭힘, 기타 노동법 위반)
근로계약서, 근태 기록 등을 첨부하여야 하니
만일에 사태를 대비해 확보해두는 것이 현명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처벌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이기에 이를 잘 설명하고 대화를 통해 받는 게 제일 좋습니다.
주휴수당 계산 공식 (평균 근로시간 x 시급)
한 주의 총 근로시간 / 5일 = 평균 근로시간
평균 근로시간 x 시급 = 주휴수당
ex) 시급 만원 / 일주일에 6시간씩 4번 근무
총 근로시간 = 24시간
평균 근로시간 = 4.8시간
4.8시간 x 10,000원 = 48,000원 (주휴수당)
* 평균 근로시간은 최대 8시간이므로 초과되는 시간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ex) 시급 만원 / 일주일에 10시간씩 5번 근무
총 근로시간 = 50시간
평균 근로시간 = 10시간
10시간 x 10,000원 = 100,000원
= X
8시간 x 10,000원 = 80,000원
= O
주휴수당의 지급 조건과 계산 공식에 대해서 포스팅해봤습니다.
주휴수당을 받는 것은 근로자의 권리이니 받는 것이 맞습니다.
그전에 왜 받는 것인지, 왜 이 금액을 받는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아르바이트를 구할 때
제가 보는 기준 2가지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https://wognl998.tistory.com/22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퀄리스포츠 엑스트론 시리즈 정리 (입문 전기 자전거 추천, 배달 겸용) (33) | 2024.11.07 |
---|---|
알바 구할 때, 기준 설정하셔야 합니다. (2가지 기준 설정법) (1) | 2024.11.03 |
집에서 카누로 아이스 아메리카노 맛있게 타 먹는 방법 (카누 홈카페) (3) | 2024.11.01 |
도서문화상품권 -> 네이버 페이 전환, 교환, 충전 방법 (6) | 2024.10.26 |
구의역 매머드커피 아이스 바닐라라떼 맛있다! (가격, 맛, 사이즈) (2)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