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지능의 역설 -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 신앙 / 교제

.후이. 2024. 11. 22. 19:28
반응형

● 진보주의

 

유전적 관계가 없는 사람들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라며, 그들을 위해 자신의 재산을 나누어도 좋다는 태도.

 

진보주의자들은 세율을 올려 소득분배를 늘림으로써 평등한 결과를 현실화하려고 함.

 

인간은 만날 일도, 교류할 일도 없는 완전한 타인에게 이타적일 수 있게끔 되어 있지 않다.

 

지능이 높은 사람일수록 진보주의일 가능성이 높다.

 

지능이 낮으면 익숙한 가치관에 이끌리기에 정치적으로 보수가 된다.

 

지능이 높은 사람 : 어리석다고 하는 행동을 할 확률이 높음.

지능이 낮은 사람 : 현명하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할 확률이 높음.


 

● 신앙

 

인간은 신을 믿게끔 진화된 것이 아니라 피해망상적인 성향을 가지게끔 진화한 것이다.

 

추리   실제상황
  화재 화재가 아님
화재 올바른 추리 제 1종 과오 (위양성)
결과 = 한밤중에 강제로 일어나게 됨
화재가 아님 제 2종 과오 (위응성)
결과 = 죽을 위험이 있음
올바른 추리

 

 

신을 믿는 쪽이 합리적이다.

초자연적 힘을 믿는 마음은 제 2종 과오(죽음)보다도 제 1종 과오(피해망상)를 범하기 쉽다.

 

진화의 관점에서 신을 믿는 일은 익숙한 일이다.

신을 믿지 않는 일은 새롭고 기묘한 일이다.

=> 사이비가 많은 이유 / 특정 사람을 신격화 하는 이유

 

지능의 역설을 통해 생각하면 지능이 높은 사람일수록 무신론자가 되기 쉽다.


● 지능이 높은 남성일수록 한 사람만 사귀는 경향이 강한 이유는?

 

인간은 애초부터 일부다처제를 취해 왔으며 단혼제는 취하지 않았다.

 

 

인간 진화 역사를 통해 남성은 동시에 여러 여성과 관계를 맺었다.

오늘날 사회는 단혼제 아래 서로 맹세한 한사람의 상대와만 성적 관계를 맺는 것

-> 이를 '성적 배타성'이라 부른다.

 

이러한 현대의 시스템은 남성에게 전례 없던 일이다.

지능이 높은 남성일수록 '성적 배타성'을 중시하겠지만, 여성의 경우는 지능과 '성적 배타성'의 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


● 암컷의 선택

 

수컷보다 암컷쪽이 열심히 육아를 하는 포유류 종의 세계(인간 포함)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은 암컷이다.

 

지능이 높은 사람일수록 신체적 매력이 높은 경향이 있다.

지능과 신체적 매력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

 

여성은 잘생긴 남성과 교제하고 싶어하고 특히 단기적인 관계에 그런 경향이 강하다.

 

지능과 키가 상관관계가 있다.

남성, 여성 모두 지능이 높은 사람이 유의미하게 키가 크다.

여성은 키가 큰 남성을 연인으로 선택하고 싶어한다.

 

지능이 높은 여성일수록 불륜을 저지른다.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일수록 불륜을 저지르지 않는다.

 

지능이 높은 여성은 부모로서는 최악의 부류에 속한다.

 

 

반응형